본문 바로가기
경제 &부동산 정보

틱톡 인수전, 아마존까지 가세…트럼프 행정부 결정 임박

by 경제투자노트 2025. 4. 3.

틱톡, 미국 매각 시한 앞두고 '인수전 대혼전'

중국 기업 **바이트댄스(ByteDance)**가 운영하는 글로벌 쇼트폼 플랫폼 **틱톡(TikTok)**의 미국 내 사업권 매각을 둘러싼 인수전이 점점 더 과열 양상을 띠고 있다. 2025년 4월 5일, 미국 내 서비스 중단 시한을 앞두고 **아마존(Amazon)**까지 인수전에 참여하면서 분위기는 최고조에 이르렀다.

이번 인수전은 단순한 기업 간 M&A가 아니라 국가 안보, 미·중 관계, 콘텐츠 플랫폼 주도권이 얽힌 전방위적인 지정학적 대결의 성격을 띠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아마존, 인수제안서 제출…공식 입장은 "노코멘트"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아마존은 J.D 밴스 부통령하워드 루트닉 상무부 장관에게 서한 형식의 인수 제안서를 보냈다. 이는 4월 5일로 예정된 매각 시한 직전에 이루어진 막판 승부수다.

하지만 미국 정부가 아마존의 제안을 진지하게 검토하고 있는 조짐은 뚜렷하지 않다. 아마존 역시 공식 입장 발표를 미루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틱톡 쇼핑(TikTok Shop)**이 아마존의 리테일 사업과 직접적인 경쟁 구도를 이루고 있는 만큼, 정보 접근권 확보 차원의 전략적 포석이라는 해석도 제기되고 있다.


틱톡금지법, 왜 이렇게까지 강경할까?

틱톡은 미국 내에서만 1억 7,000만 명의 이용자를 보유하고 있다. 그만큼 콘텐츠 소비 영향력, 정치적 파급력, 개인정보 데이터 처리 이슈가 크다는 점에서 국가 안보 위협 요소로 판단되어 왔다.

바이든 정부는 이에 대응해 2024년 **‘틱톡금지법(TikTok Ban Act)’**을 제정했다.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미국 기업에 매각하지 않으면 서비스 전면 중단
  • 최초 시한: 2025년 1월 19일 → 트럼프 대통령이 4월 5일까지 연장

이에 따라 틱톡은 1월 중 한 차례 미국 내 서비스가 일시 중단되었고, 현재는 유예기간 중인 상황이다. 4월 5일까지 매각되지 않으면 미국 내 접속 자체가 차단될 수 있다.


치열한 인수전, 누가 웃을까?

틱톡 미국 사업 인수에 뛰어든 기업 및 인물은 다음과 같다.

  • 프랭크 맥코트(억만장자 부동산 개발자)
  • 알렉시스 오해니언(레딧 공동창업자)
  • 제시 틴슬리(기술 기업가)
  • 미스터비스트(유튜브 스타)

이들 개인은 컨소시엄 형태로 연합하여 자금을 모으고 있고, 이외에도 오라클(Oracle), 블랙스톤(Blackstone), AI 스타트업 퍼플렉시티AI(Perplexity AI), 벤처캐피털 앤드리슨 호로위츠(Andreessen Horowitz) 등이 경쟁자로 떠올랐다.

아마존의 참전으로 인해 관심만으로도 틱톡 미국 사업의 ‘몸값’은 올라가고 있다는 분석이 많다. 실제로 외신들은 “아마존의 인수 가능성은 높지 않지만, 가격 경쟁을 유도하는 신호탄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트럼프 정부는 어떤 선택을 할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2025년 1월 재취임 이후 자국 기업 중심의 강경 보호무역 정책을 펼치고 있다. 틱톡 역시 중국 정보기관과의 연계 가능성을 이유로 지속적인 분리·매각 압박 대상이 되어왔다.

트럼프 행정부는 4월 3일 오후, J.D 밴스 부통령을 비롯한 고위 관계자들과 회의를 열고 틱톡 미국 사업의 향방을 결정할 예정이다. 현재는 오라클+블랙스톤 컨소시엄이 유력 후보로 꼽히며, 공동 벤처 형태로 분리해 운영하는 방안도 고려되고 있다.


틱톡 인수전, 미국 플랫폼 시장의 변곡점

틱톡 인수전은 단순한 플랫폼 매각을 넘어 미국 내 SNS 시장 재편, 정치적 규제 강화, 기술 주도권 변화라는 복합적 의미를 가진다.

만약 아마존이나 오라클이 틱톡을 인수하게 될 경우, 기존 SNS(인스타그램, 유튜브 등) 지형에 큰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특히 틱톡의 젊은 이용자층과 쇼핑 기능을 흡수할 수 있는 플랫폼이 승자가 된다면, 콘텐츠·커머스 시장 모두에 파장을 줄 것이다.


참고할 만한 자료

 


마무리하며

틱톡 미국 사업 인수전은 단순한 기업 간 경쟁이 아닌 정치, 경제, 기술, 외교가 모두 얽힌 국제적 사안이다. 아마존의 깜짝 참전은 예상치 못한 변수가 되었고, 트럼프 행정부의 결정은 곧 미국 플랫폼 시장의 판도를 좌우하게 될 것이다.

4월 5일, 그 결과에 따라 틱톡은 미국에서 계속 서비스될 수도, 완전히 퇴출될 수도 있는 갈림길에 서 있다. 이 사안은 앞으로도 가상자산, AI, 플랫폼 생태계 전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신한은행, 디지털화폐 예금 토큰 전자지갑 서비스 오픈! 실사용까지 가능한 쏠지갑 A to Z

요즘 진짜 디지털 시대라고들 하잖아요?근데 이번엔 정말 ‘디지털 화폐’가 현실로 다가온 느낌이에요.바로 신한은행이 '신한 SOL뱅크' 앱에서 디지털화폐 테스트용 예금 토큰 전자지갑 서비스

fblog.storyx2.com

 

 

현대면세점 구조조정, 동대문점 폐점·희망퇴직… 면세업계의 거센 생존 몸부림

면세점 황금기 끝? 현대면세점 구조조정 전면 돌입한때 황금기를 누렸던 국내 면세업계가 급격한 소비 트렌드 변화와 외국인 관광객 감소에 직면하면서 현대면세점이 사상 첫 구조조정에 나섰

fblog.storyx2.com

 

 

오픈AI, 기업가치 442조 원 돌파…AI 역사상 최대 투자 유치

요즘 진짜 AI 관련 뉴스가 하루가 멀다 하고 터지는 느낌이죠?그중에서도 단연 돋보이는 소식은 바로 **오픈AI(OpenAI)**의 투자 유치 소식이에요.31일(현지 시간), 시장조사 업체 피치북(PitchBook)에

fblog.storyx2.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