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인&주식 정보

트럼프 상호관세 발표, 비트코인 급락… 투자심리 ‘극단적 공포’ 전환

by 경제투자노트 2025. 4. 3.

상호관세 발표 직후 비트코인 하락… “최악의 시나리오가 현실로”

2025년 4월 3일 새벽, 전 세계 투자자들은 한 목소리로 긴장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전격적으로 발표한 ‘상호관세’ 정책이 시장의 우려를 현실화시키며 가상자산 시장을 정면으로 강타했기 때문이다.

발표 전까지만 해도 관세 강도에 대한 기대감으로 비트코인을 비롯한 주요 코인 가격은 반등세를 보였다. 비트코인은 일시적으로 1억3000만 원대까지 반등했으나, 발표 직후 1억2200만 원대로 급락하며 투자자 심리를 단숨에 얼어붙게 만들었다.


관세 내용 요약: 주요 교역국에 '징벌적 관세' 부과

트럼프 전 대통령이 밝힌 이번 상호관세는 단순한 무역 규제가 아니다. 이는 전면적인 보호무역 강화 선언이자, 글로벌 교역질서에 대한 경고다.

  • 미국 수입품 전체에 기본 10% 관세 부과
  • 약 60개 교역국에는 추가 ‘징벌적 관세’ 적용
  • 주요국 관세율:
    • 중국 34%, EU 20%, 일본 24%
    • 한국 25%, 대만 32%, 베트남 46%

이 같은 조치는 곧장 국제 물가 인상과 공급망 경색 → 글로벌 유동성 축소 → 위험자산 투자 위축으로 연결되며, 비트코인과 같은 고위험 자산에 대한 매도세를 자극했다.


비트코인·이더리움 하락, 김치프리미엄 소폭 유지

관세 발표 직후, 주요 암호화폐는 빠르게 하락세로 전환됐다.

  • 비트코인:
    • 빗썸: 1억2287만 원 (3.31%↓)
    • 업비트: 1억2308만 원 (3.11%↓)
    • 코인마켓캡: 8만2575달러 (3.01%↓)
  • 이더리움:
    • 빗썸: 268만 원 (3.17%↓)
    • 업비트: 269만 원 (5.13%↓)
    • 코인마켓캡: 1805달러 (5.17%↓)

또한 국내와 글로벌 시세 차이를 나타내는 김치프리미엄은 1.42%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국내 투자자들이 아직 일정 수준의 매수세를 유지하고 있다는 반증이지만, 하락장에서 가격 괴리는 쉽게 해소되기도 한다는 점에서 주의가 필요하다.


공포·탐욕 지수 ‘Extreme Fear’로 급전환

투자 심리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인 **공포·탐욕 지수(Fear & Greed Index)**는 이번 발표 이후 단숨에 악화되었다.

  • 전날: 44 (공포)
  • 현재: 25 (극단적 공포, Extreme Fear)

이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공포’,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수치가 낮아질수록 시장 내 매도 우위 심리가 강해지고, 유동성이 줄어든다.


상호관세가 왜 비트코인에 악재인가?

1. 인플레이션 우려 확대

관세는 수입 물가를 상승시켜 전체 소비자물가를 자극한다. 이는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 가능성을 높이고, 위험자산 시장엔 악재로 작용한다.

2. 안전자산 선호 심리 강화

관세로 인한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면, 시장은 자연스럽게 달러·엔화·금 같은 안전자산으로 이동한다. 이때 비트코인 같은 고변동성 자산은 급격한 매도 압박에 직면한다.

3. 글로벌 유동성 축소

무역 충돌은 글로벌 투자심리 위축 → 자본시장 불안정 → 유동성 축소로 이어지며, 특히 레버리지 투자가 많은 가상자산 시장에 치명적이다.


투자자 대응 전략은?

시장이 요동치는 현재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세 가지 관점에서 대응 전략을 점검해야 한다.

1. 단기 변동성에 대비하되, 장기 시야 유지

이번 하락은 단기 충격에 가깝다. 그러나 시장 전반이 과매도 상태로 전환되면 반등의 기회도 존재한다. 공포 속 매수는 리스크가 있지만, 분할매수 전략은 고려할 수 있다.

2. 미국의 후속 정책 발표 주시

관세 정책의 실제 시행 시기와 구체적 조건, 그리고 미 연준의 금리 스탠스 변화가 향후 방향을 결정짓는다. 모든 투자는 정책 시그널과 연동되어야 한다.

3. 디지털 자산 분산 전략 재점검

시장 혼란기에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중심의 포트폴리오 재조정이 중요하다. 변동성이 큰 알트코인보다는 안정성과 유동성이 확보된 자산 중심의 구성이 유리하다.


참고할 만한 자료


마무리하며

이번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발표는 가상자산 시장에 예상보다 더 큰 충격파를 던졌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하락, 김치프리미엄의 미세한 조정, 공포지수의 급전환은 모두 시장의 불안정성과 예민한 반응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지금은 단기적인 하락을 무작정 두려워하기보다는, 시장 흐름을 이해하고 전략적으로 대응할 시점이다. 투자자들은 외부 변수에 휘둘리지 않고, 자신의 투자 기준을 지켜나가는 냉정함과 인내심을 가져야 한다.


 

 

오픈AI GPU 부족, 챗GPT 이미지 생성 열풍에 시스템 과부하

샘 올트먼 “10만 개 GPU 있으면 연락 달라”…이례적 요청2025년 4월 1일, 오픈AI의 최고경영자 **샘 올트먼(Sam Altman)**이 자신의 SNS 계정 X(구 트위터)를 통해 이례적인 공지를 남겼다. 그는 “현재

fblog.storyx2.com

 

 

소형아파트 인기, 중대형 아파트보다 청약 경쟁률 ‘6배’ 높았다

수도권 청약시장, ‘소형 아파트’에 몰린 수요2023년 수도권 청약 시장에서 가장 뜨거운 관심을 받은 주택 유형은 다름 아닌 **‘소형 아파트’**였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인포가 발표한 분

fblog.storyx2.com

 

 

테슬라 1분기 인도량 발표 임박…트럼프 취임 후 첫 성적표에 월가 긴장

불확실성 속 주목되는 1분기 실적…트럼프 효과는?2025년 4월 2일(현지시간 기준), 테슬라가 2025년 1분기 차량 인도량과 생산량을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 발표는 단순한 실적 공개를 넘어, 도

fblog.storyx2.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