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상호관세 발표 직격탄…비트코인, 8만 달러선 무너져
가상화폐 시장의 '황제주'로 불리는 비트코인 가격이 8만 달러 선을 지키지 못하고 급락했습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관세 부과 방침 이후 글로벌 투자심리가 급속도로 얼어붙은 데 따른 결과로 풀이됩니다.
6일(현지시간) 미국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에 따르면, 비트코인 1개는 오후 4시 기준 7만 9548달러에 거래되며 전날보다 4.10% 하락했습니다. 특히 오후 2시 47분에는 하루 전보다 4.99% 급락한 7만 8625달러까지 하락하며 심리적 지지선이던 8만 달러를 무너뜨렸습니다.
비트코인만이 아니다…이더리움·리플·솔라나 줄줄이 하락
비트코인뿐만 아니라 **이더리움(Ethereum)**은 11% 이상 폭락하며 1600달러를 밑도는 수준으로 밀려났고, **리플(XRP)**과 솔라나(SOL) 역시 각각 7%, 10% 이상의 낙폭을 기록했습니다.
이처럼 주요 알트코인들이 동반 하락한 데에는 관세 정책으로 인한 거시경제 불확실성 확대와 더불어, 투자자들이 리스크 회피에 나선 점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가상화폐 전문매체 코인데스크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은 글로벌 무역에 커다란 부담을 줄 뿐 아니라, 투자자 심리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며 “비트코인이 미국 증시에 비해서는 선방하고 있지만 향후 방향성을 예측하긴 어려운 상황”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재무장관 발언이 기름 부었다…관세 철회 기대감 무산
시장에 또 하나의 충격을 준 것은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의 인터뷰였습니다. 그는 이날 NBC 방송에 출연해 “이번 상호관세 부과 대상국들은 오랫동안 나쁜 행동을 해왔다”며, “며칠이나 몇 주 안에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며 협상 여지도 없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이는 시장 일각에서 제기됐던 관세 완화 또는 철회 기대감을 완전히 꺾는 발언으로, 비트코인을 비롯한 위험자산의 전반적인 가격 하락을 부추겼다는 평가입니다.
올해 1분기, 10년 만에 최악의 성적표 받아든 비트코인
시장분석업체 NYDIG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2024년 1분기 기준 11.7% 하락해, 이는 2015년 이후 10년 만에 최악의 분기 성적이라고 분석됐습니다. 팬데믹 당시였던 2020년 1분기의 -9.4% 보다도 더 부진한 수치입니다.
이 같은 하락 배경에는 글로벌 거시환경 악화 외에도 과열된 가격 부담, ETF 기대감에 따른 과매수, 규제 불확실성, 고금리 기조의 장기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의 친(親) 코인 행보…하지만 불확실성은 여전
흥미로운 점은 트럼프 대통령이 1기 행정부 시절과 달리 이번 대선 출마를 앞두고는 비교적 가상자산에 우호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트럼프는 최근 “미국이 블록체인과 디지털 자산 분야에서 세계를 선도해야 한다”는 발언을 하며 가상화폐 산업을 규제하기보단 육성해야 한다는 기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 정책으로 이어질지, 또 정치적 발언에 그칠지에 대한 불확실성은 여전히 시장에 큰 부담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아직 트럼프의 정치적 발언과 정책 방향 사이의 괴리에 대해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기술적 지표로 본 비트코인, 어디까지 떨어질까
기술적으로 볼 때 비트코인은 8만 달러가 중요한 지지선이자 심리적 분기점으로 작용해왔습니다. 이번 지지선 붕괴로 인해, 7만5000달러~7만7000달러 사이가 새로운 단기 지지 구간으로 거론되고 있습니다.
만약 이 구간마저 하회할 경우, 7만 달러대 초반이나 6만8000달러선까지도 조정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반면 반등에 성공할 경우, 다시 8만2000~8만5000달러 구간 회복이 관건으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마무리하며
비트코인의 8만 달러 붕괴는 단순한 가격 하락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글로벌 정치·경제 정책 변화가 디지털 자산 시장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 그리고 투자심리가 얼마나 빠르게 위축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입니다.
향후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과 미국 대선 국면에서의 정책 변화, 그리고 연준의 금리 정책과 글로벌 금융시장 흐름이 비트코인을 포함한 가상자산 시장의 향방을 좌우할 핵심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소형아파트 인기, 중대형 아파트보다 청약 경쟁률 ‘6배’ 높았다
수도권 청약시장, ‘소형 아파트’에 몰린 수요2023년 수도권 청약 시장에서 가장 뜨거운 관심을 받은 주택 유형은 다름 아닌 **‘소형 아파트’**였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인포가 발표한 분
fblog.storyx2.com
사천에 들어서는 프리미엄 민간임대 ‘동원베네스트 스카이포레’, 미래가치 주목
사천 대곡지구에 민간임대아파트 ‘동원베네스트 스카이포레’ 첫 공급경상남도 사천시가 새로운 주거지로 주목받고 있다. 2025년 4월, 시행사 **인앤월드㈜**는 사천시 정동면 대곡리 일원에 민
fblog.storyx2.com
오픈AI, 기업가치 442조 원 돌파…AI 역사상 최대 투자 유치
요즘 진짜 AI 관련 뉴스가 하루가 멀다 하고 터지는 느낌이죠?그중에서도 단연 돋보이는 소식은 바로 **오픈AI(OpenAI)**의 투자 유치 소식이에요.31일(현지 시간), 시장조사 업체 피치북(PitchBook)에
fblog.storyx2.com
'코인&주식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더리움·엑스알피 급등, 비트코인 반등과 함께 주목 받는 가상자산 시장 (3) | 2025.04.10 |
---|---|
하이브 1분기 실적 부진, BTS 완전체 복귀가 실적 반등의 열쇠 될까? (0) | 2025.04.10 |
트럼프 상호관세 발표, 비트코인 급락… 투자심리 ‘극단적 공포’ 전환 (3) | 2025.04.03 |
테슬라 1분기 인도량 발표 임박…트럼프 취임 후 첫 성적표에 월가 긴장 (2) | 2025.04.02 |
일론 머스크 “테슬라 주가 하락, 내 탓 맞지만... 지금이 매수 기회” (3) | 2025.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