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 트렌드

편의점 색조화장품 시장 확대, 뷰티 플랫폼으로 진화하는 유통 채널

by 경제투자노트 2025. 4. 10.

편의점, 색조화장품으로 뷰티시장 본격 진입

최근 몇 년 사이 편의점 업계가 단순한 소비재 유통 채널을 넘어 뷰티 제품 유통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스킨케어 중심의 기초화장품에서 나아가 틴트, 립글로스, 치크 제품 등 색조화장품 라인까지 확대되며, 업계 전반의 변화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젊은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 변화, 접근성 높은 소비 채널 선호, 그리고 합리적인 가격에 대한 수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해석됩니다. 실제로 편의점에서의 뷰티 제품 구매는 '급할 때 쓰는 대체재'를 넘어, 일상 속 뷰티 소비 채널로 자리 잡아가는 중입니다.


GS25, 무신사 색조 브랜드 ‘위찌’ 테스트 판매 시작

GS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 GS25는 최근 **무신사 메이크업 브랜드 ‘위찌’**의 색조화장품을 주요 점포에서 선보이기 시작했습니다. ‘위찌’는 지난 2월 무신사에서 론칭된 브랜드로, 현재까지 주로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인지도를 쌓아왔습니다.

GS25에서 판매되는 제품은 립틴트와 치크 제품으로 구성된 8종 세트입니다. 대표 상품으로는 ▲글로우 업 틴트 5종(1만3000원), ▲슬릭 무브 립앤치크 3종(1만4000원) 등이 있으며, 4월 한 달간 카카오페이 결제 시 30% 페이백 행사가 진행돼 가격 경쟁력도 확보했습니다.

제품은 서울 중심의 주요 20개 점포(예: GS25 DXLAB점, 뉴안녕인사동점, 지에스강남점 등)의 뷰티 특화 매대에 배치되어 고객과의 접점을 넓히고 있습니다.

GS25 관계자는 “그동안 기초 제품 위주로 꾸려졌던 뷰티 카테고리를 색조화장품까지 확대하며, 새로운 수요를 끌어들이기 위한 전략을 구체화하는 단계”라고 설명했습니다.


CU, 파우치형 색조화장품으로 접근성·가성비 높여

BGF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 CU 역시 색조화장품 시장 진입을 본격화했습니다. CU는 2024년 1월, 소용량 파우치 형태의 립틴트 및 립글로스 제품을 선보이며 젊은 층을 겨냥한 신제품을 출시했습니다.

출시 제품은 ▲립컬러틴트 웜레드, ▲립컬러틴트 쿨핑크, ▲립글로스 투명(각 3㎖, 3000원), ▲올인원 스킨로션(15㎖, 1500원) 등 총 4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휴대성과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한 것이 특징입니다.

CU는 “색조 전용 소용량 제품을 통해 10~20대 여성 고객의 구매 경험을 유도하고, ‘가볍게 사서 써보는 뷰티 제품’이라는 포지셔닝으로 접근성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CU는 지난 3년간 화장품 매출이 두 자릿수로 성장하며 잠재 수요의 가치를 확인했다고 전했습니다.

  • 2022년: 전년 대비 매출 24.0% 증가
  • 2023년: 전년 대비 매출 28.3% 증가
  • 2024년: 전년 대비 매출 16.5% 증가

세븐일레븐·이마트24도 색조 제품 라인업 강화 중

GS25와 CU뿐 아니라, 세븐일레븐과 이마트24도 뷰티 제품 라인업 강화에 동참하고 있습니다. 특히 세븐일레븐은 젤네일, 핸드크림, 페이셜 미스트 등 간편하면서도 소모성 높은 아이템을 확대하고 있으며, 이마트24는 자체 브랜드(PB) 뷰티 상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편의점 업계는 점차 소형 뷰티숍에 가까운 모델로 진화하고 있으며, 향후에는 네일, 베이스 메이크업, 클렌징 제품 등으로 제품군이 더 다양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오프라인 편의점에서 테스트해 본 제품을 온라인에서 정가로 재구매하는 소비 형태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소비자 인식 변화가 만든 새로운 시장

과거에는 편의점에서 화장품을 구매한다는 것은 ‘응급 상황용’이라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에는 ‘가성비 있는 일상 뷰티템’으로 인식이 바뀌고 있습니다. 접근성 높은 유통채널, 즉시 구매 가능한 재고, 빠르게 업데이트되는 제품군이 편의점 색조화장품을 하나의 시장으로 만들어내고 있는 것입니다.

업계 관계자는 “요즘 소비자들은 온라인 쇼핑을 하기 전 오프라인에서 먼저 경험해보길 원하는 성향이 강하다”며, “편의점은 이런 테스트 구매의 접점이 될 수 있어 뷰티 브랜드들에게도 매우 매력적인 유통 채널”이라고 말했습니다.

특히 MZ세대는 빠른 트렌드 습득, 합리적 소비, 새로운 브랜드 경험을 중요하게 여기는 만큼, 편의점 색조화장품 시장은 향후 더욱 성장 가능성이 큰 카테고리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참고자료 링크

 


 

하이브 1분기 실적 부진, BTS 완전체 복귀가 실적 반등의 열쇠 될까?

2025년 1분기 하이브 실적, 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할 전망2025년 1분기 하이브의 실적이 시장 컨센서스를 하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주요 증권사들은 일제히 하이브의 실적 전망치를 하향

fblog.storyx2.com

 

 

미,중 AI 격차 사라지나? 스탠포드 AI 보고서가 보여준 현실

AI 기술 패권, 미국 독주 시대는 끝났을까?2025년 4월, 스탠포드대학교가 발표한 ‘AI 인덱스 2025 보고서’는 인공지능 업계에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습니다. 불과 1~2년 전까지만 해도 AI 기술력에서

fblog.storyx2.com

 

 

얼죽재 열풍, 재건축보다 중요한 주거의 본질을 생각할 때

얼어 죽어도 재건축? 열풍 이면의 현실을 직시하자최근 부동산 시장에서 주목받는 키워드 중 하나는 바로 ‘얼죽재’, 즉 ‘얼어 죽어도 재건축’입니다. 이는 높은 분담금, 각종 규제, 사업성

fblog.storyx2.com

반응형